아래의 글은 naver.com 의 기사를 읽다가 우리 산악회 이야기가 나와 잠깐 옮겨 봅니다.
제3자가 쓴 글인데 산악계의 명문을 고등학교는 양정, 대학은 동국대를 꼽았습니다.
물론 많은 명문들이 있지만 이 말에 토를 달 사람은 거의 없다고 봅니다.
우리가 이러한 명성에 걸맞게 좋은 후배들이 이어줘야 명문을 유지 합니다.
미국의 경우를 보더라도 명문은 졸업한 동창들이 만드는 것입니다.
양정산악회여러분 참고로 읽어보십시오. / 조동식
아래****
엄홍길, 불굴의 산사나이 | 한국의 등반가들 2006/04/27 14:59
http://blog.naver.com/mann18/40023974664
엄홍길, 불굴의 山사나이 ‘마지막 승부’
입력: 2006년 04월 26일 17:41:45 : 2 : 0
한국 산악계의 계보를 따지면 고상돈과 허영호에 이은 스타로 누구나 엄홍길을 꼽을 것이다. 아시아 최초로 14좌 등정기록을 세운 산악인. 하지만 그는 히말라야 14좌에 오르기까지 거의 절반이나 실패했다. 안나푸르나의 경우는 다섯 번 도전 만에 성공했을 정도다. 지금은 엄홍길이 세계적인 산악인으로 인정받지만 10여년 전만 해도 엄홍길은 그리 대단한 존재는 아니었다.
고지가 저기 로체샤르 등정을 앞두고 베이스캠프와 캠프 1, 2, 3을 오가며 막바지 등정훈련을 하고 있는 엄홍길 원정대장이 캠프2로 가는 길에 잠깐 서서 숨을 고르며 웃고 있다. 뒤에 보이는 봉우리가 해발 8,400m 로체샤르다. 히말라야/정지윤기자
엄홍길이란 이름이 뉴스에 처음 나온 것은 1988년 서울올림픽 때다. 올림픽에 맞춰 기획한 이벤트 중 하나가 바로 에베레스트(8,848m)와 로체(8,516m) 동시등정. 대한산악연맹이 주도한 이 원정대에서 엄홍길은 에베레스트를 처음 밟았다. 이때가 그의 첫 8,000m 등정이었다. 하지만 첫번째 도전은 아니었다. 85년 에베레스트 원정대에 참여했다가 8,000m고지에도 오르지 못한 채 7,500m지점에서 발길을 돌렸고, 이듬해엔 8,600m지점에서 좌절했다.
엄홍길은 산악계에선 엘리트 코스를 밟지 못했다. 산악계도 명문이 존재하는 법. 전통도 있고, 산사람들을 많이 배출한 양정고나 동국대 산악반의 경우 선배들이 많아 아무래도 해외원정의 기회가 많다. 엄홍길은 이런 ‘줄’이 없었다. 경남 고성에서 태어나 3세 때 의정부로 이사왔던 ‘촌놈’. 도봉산 자락에서 매점을 하던 부모를 도왔던 그는 날다람쥐처럼 산을 탔지만 무명 산악인이었다. 키는 167㎝, 몸무게는 66㎏ 정도인 보통 체구지만 체력은 좋았다. 동두천 양주고를 졸업하고 해군 특수부대 UDT를 제대했던 그를 눈여겨보던 선배가 85년 에베레스트에 한번 가보자고 한 것이 해외원정등반을 하게 된 계기다.
제3자가 쓴 글인데 산악계의 명문을 고등학교는 양정, 대학은 동국대를 꼽았습니다.
물론 많은 명문들이 있지만 이 말에 토를 달 사람은 거의 없다고 봅니다.
우리가 이러한 명성에 걸맞게 좋은 후배들이 이어줘야 명문을 유지 합니다.
미국의 경우를 보더라도 명문은 졸업한 동창들이 만드는 것입니다.
양정산악회여러분 참고로 읽어보십시오. / 조동식
아래****
엄홍길, 불굴의 산사나이 | 한국의 등반가들 2006/04/27 14:59
http://blog.naver.com/mann18/40023974664
엄홍길, 불굴의 山사나이 ‘마지막 승부’
입력: 2006년 04월 26일 17:41:45 : 2 : 0
한국 산악계의 계보를 따지면 고상돈과 허영호에 이은 스타로 누구나 엄홍길을 꼽을 것이다. 아시아 최초로 14좌 등정기록을 세운 산악인. 하지만 그는 히말라야 14좌에 오르기까지 거의 절반이나 실패했다. 안나푸르나의 경우는 다섯 번 도전 만에 성공했을 정도다. 지금은 엄홍길이 세계적인 산악인으로 인정받지만 10여년 전만 해도 엄홍길은 그리 대단한 존재는 아니었다.
고지가 저기 로체샤르 등정을 앞두고 베이스캠프와 캠프 1, 2, 3을 오가며 막바지 등정훈련을 하고 있는 엄홍길 원정대장이 캠프2로 가는 길에 잠깐 서서 숨을 고르며 웃고 있다. 뒤에 보이는 봉우리가 해발 8,400m 로체샤르다. 히말라야/정지윤기자
엄홍길이란 이름이 뉴스에 처음 나온 것은 1988년 서울올림픽 때다. 올림픽에 맞춰 기획한 이벤트 중 하나가 바로 에베레스트(8,848m)와 로체(8,516m) 동시등정. 대한산악연맹이 주도한 이 원정대에서 엄홍길은 에베레스트를 처음 밟았다. 이때가 그의 첫 8,000m 등정이었다. 하지만 첫번째 도전은 아니었다. 85년 에베레스트 원정대에 참여했다가 8,000m고지에도 오르지 못한 채 7,500m지점에서 발길을 돌렸고, 이듬해엔 8,600m지점에서 좌절했다.
엄홍길은 산악계에선 엘리트 코스를 밟지 못했다. 산악계도 명문이 존재하는 법. 전통도 있고, 산사람들을 많이 배출한 양정고나 동국대 산악반의 경우 선배들이 많아 아무래도 해외원정의 기회가 많다. 엄홍길은 이런 ‘줄’이 없었다. 경남 고성에서 태어나 3세 때 의정부로 이사왔던 ‘촌놈’. 도봉산 자락에서 매점을 하던 부모를 도왔던 그는 날다람쥐처럼 산을 탔지만 무명 산악인이었다. 키는 167㎝, 몸무게는 66㎏ 정도인 보통 체구지만 체력은 좋았다. 동두천 양주고를 졸업하고 해군 특수부대 UDT를 제대했던 그를 눈여겨보던 선배가 85년 에베레스트에 한번 가보자고 한 것이 해외원정등반을 하게 된 계기다.